Unity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방송대 프로젝트 - 프로젝트 초기 셋팅 2022.06.21 방송대 기말고사를 끝내고 프로젝트를 제대로 시작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아마 이번달은 할 일이 많아서 기본 셋팅정도만 보고 다음달부터 최대한 시간을 내서 작업을 하게 될 것 같다. 이거 외에도 진행하는 프로젝트(유니티 플젝, 영어공부)가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시간 안에 성과를 내기 위해 버릴건 버리고 진행해나갈 것이다. 앞으로 프로젝트를 편하게 진행하기 위한 툴들을 추가하는 작업을 했다. 나중에 이런것들을 모아 EugeneTemplate과 같은 레포를 만들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를 위해 레포에 추가한 이슈내역은 다음과 같다. 1.루키스 기반 기본 템플릿 성능상 살짝 아쉬운 부분도 있고 평소 쓰던 타입도 아니지만, 그래도 다양한걸 사용해보고자 하는 마음에서 지난번 루키스님의.. [의사난수노이즈] 해시 - 시각화(Catlikecoding) 튜토리얼에 포함된 내용이 아니고 제가 추가한 내용은 밑줄로 표시했습니다. 사물을 예측할 수 없고 다양하며 자연스럽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무작위성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정말로 무작위인지 아니면 정보 부족이나 관찰자의 이해로 인해 그렇게 나타나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무작위성을 결정적이며 완전한 무작위가 아닌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잘못 설계된 다중 스레드 코드는 경쟁 조건(race conditions)으로 이어져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지만, 이는 신뢰할 수 있는 임의성의 소스가 아닙니다. 진정하게 신뢰할 수 있는 무작위성은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대기 잡음을 샘플링하는 하드웨어와 같은 외부 소스에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 진정한 무작위성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UIToolkit]Visual Tree ※반복되는 단어는 줄여서 표현하겠습니다! 줄여서 표현할 단어 뒤에 괄호로 어떻게 표현할지 표시한 후, 그 다음부터는 해당 단어를 줄여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UI툴킷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visual element입니다. visual element는 부모-자식 관계를 가진 계층 구조의 트리로 정렬됩니다. 위 다이어그램은 계층 트리의 단순화된 예와 UI Toolkit의 렌더링된 결과를 표시합니다. Visual Element(VE) VisualElement클래스는 Visual Tree에서 모든 노드에 대한 base입니다. Visual Tree에서의 모든 노드는 VE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VE기본 클래스에는 스타일, 레이아웃, 데이터 및 이벤트 핸들러와 같은 모든 컨트롤에 대한 공통 속성이 포함되어.. 이전 1 다음